티스토리 뷰

0. 서론

외국어 쉐도잉이란 단어를 들어본 사람이 많을 것 같은데,

나도 졸업 전에 일본 여행을 가고 싶기 때문에 일본어 공부 중이다.

제 2외국어가 일본어였어서 히라가나랑 가타가나는 떠듬떠듬 읽는데,

회화 한 마디 내뱉을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고

쉐도잉 연습을 하려던 찰나에 발견한게 바로

『Language Reactor』라는 웹 앱이다.

 

넷플릭스 / 유튜브에 적용할 수 있는데

설치하고 약간 불편한건

유튜브 시청할때마다 LR off 설정해둬야하는 것...

기본 설정이 자막 설정인지 꺼놔도 다시 리셋될 때가 있다.

그때마다 일일이 off 해야한다.

LR OFF 버튼

 

1. 설치

 

Language Reactor

당신이 공부하는 언어로 영화와 드라마를 보면서 자신의 언어실력을 즐겁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향상 시키세요.

chrome.google.com

크롬으로 켜야한다.

그냥 설치하면 알아서 설치된다.

 

참고로 대본이 있는게 있고 없는게 있다.

설정에 들어가면 리스트가 떠있는 것 같으니 보던가,

그냥 일일이 들어가서 찾아보도록 하자.

 

나 같은 경우는 외국어 공부에 전념할게 아니기 때문에

20분 내외의 짧은 드라마를 골랐다.

 

드라마는 보통 1시간 분량이니까 애니메이션부터 탐색했는데

하이큐 같은건 의외로 대본이 없었다.

심야식당

일단 여행가면 음식 주문을 제일 많이 할테니

『심야식당』으로 결정

 

2. 이중자막 설정

공부하려는 미디어 컨텐츠를 켜놓고 설정으로 들어간다.

LR 자막쪽에 있으며 하단 우측에 위치해있다.

설정

유념해야할 건 기본적으로 세 개다.

Netflix 오디오 언어

Netflix 자막 언어

번역 언어

 

Netflix 오디오 언어는 기본적으로 건들일게 없다.

그냥 일본건 일본 언어로보고, 영미권은 영어로 보는게 베스트니까.

 

설정해둬야할 것은 

Netfilx 자막 언어와 번역 언어인데,

번역 언어를 모국어로 하고

Netfilx 자막 언어는 무조건 배울 외국어로 해야한다.

Netflix 자막 언어

참고로 여기서 설정하는게 Netflix 자막 언어다.

여기서 설정해도 되고 LR쪽 옵션키 들어가서

번역 언어랑 한번에 설정해도 됨.

클릭 사전 기능

그럼 이렇게 하나씩 클릭해보면서 들어볼 수 있으므로

아무튼 더 편하다.

 

클릭 사전 기능은 Netflix 자막 언어에만 지원해주기 때문

3. 활용법

단축키

 

 

이전 대사로 이동

 

 

 

현재 대사를 처음부터 반복 재생

 

 

 

다음 대사로 이동

 

 

 

다른 단축키도 있지만 솔직히 더 쓰진 않는 것 같다.

이정도가 가장 추천할만한듯.


대본

 

대본 열기

이 버튼을 누르면 아래처럼 대본이 형성된다.

커서를 갖다대면 문장 번역과 단어 번역이 된다.

 

우측 상단의 설정 옆의 화살표를 누르면 대본을 내보낼 수 있다.

인쇄해서 공부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까지 사용할 예정은 없다.


원래 앱은 쓰는 기능만 쓰니까

나도 이 이상은 안 쓸거같다.

 

다른 기능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추천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