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React] ERROR in Plugin "react" was conflicted between and "BaseConfig"
밍동망동 2023. 5. 19. 10:20[React] ERROR in Plugin 'react' was conflicted between 에러
아니 취업하고 싶은데 리액트 깔면서 에러가 계속 생긴다. 진로탐색학점제 때문에 진도를 나가려고 이것저것 챙겨갔는데 저번주엔 그냥 오류만 해결하다 한 주를 보냈다. 이번에 나온 에러는,
404minda.tistory.com
최근에 리액트 개발환경 구현을 다시 하면서 또 다시 이 문구를 맞닥뜨렸다.
다른 점이 있다면 이번 에러는 조금 더 길었다는 것
처음에는 앞 주절이 같아서 위의 링크와 같은 방식을 취했다.
eslint-config-react-app을 재설치했는데 해결이 되지 않았다.
다시 에러 문장을 자세히 봤는데 다음 키워드가 보였다.
and
대충 앞 뒤로 비슷한 경로가 있고 두 파일 사이에서 충돌이 일어난다는 것 같았다.
yarn dedupe
yarn dedupe 범위가 겹치는 종속 항목을 중복 제거합니다.
Documentation Contributors History
runebook.dev
이 키워드를 이용해서 중복 제거를 하고 다시 yarn start 해주었다.
문제가 해결되었다.
참고
Create-react-app - ERROR in Plugin "react" was conflicted between ".eslintrc.json" and "BaseConfig"
After updating to CRA 5.0.0, I got this error on compilation process: ERROR in Plugin "react" was conflicted between ".eslintrc.json" and "BaseConfig » "..\react-app\
stackoverflow.com
문제가 해결된 듯 보이더니 또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윈도우 환경에서는 파일 경로를 바꿔보라는 해결책이 있었는데
나는 mac 유저라 도움이 되지 않았다.
구글링 결과

yarn을 사용하는 유저들에게 가끔 나타나는 문제인 것 같았다.
그리 유명하지 않아 해결책이 많지 않다.
yarn을 마이그레이션하면 해결된다.
Migration
A step-by-step and in-depth migration guide from Yarn 1 (Classic) to Yarn 2 (Berry).
yarnpkg.com
yarn migration 공식 문서
yarn2와 함께 PnP(Plug'n'Play)를 적용해보자. (feat. Typescript)
먼저 기술적으로 적용시키기 전에 Yarn2 (Berry)가 나온 배경부터 알아봅시다. 바로 기술적인 내용이 필요하신 분이라면 스킵해도 좋습니다.
velog.io
migration에 대한 설명이 잘 되어있는 블로그
migration 하는 과정
먼저 프로젝트의 경로로 이동한다.
react 폴더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다고 가정해보자.
cd react
berry 버전을 설정한다.
yarn set version berry
여기서부터는 내가 에러를 수정하기 위해 실행한 방법이다.
∙ .npmrc 파일이 있다면 .yarnrc.yml로 전환해준다.
- 나는 .npmrc 파일이 없었고 .yarnrc.yml 파일만 있어 생략했다.
∙ package.lock.json 파일을 제거한다.
- 이 역시 없어서 생략했다.
∙ node_modules 폴더 제거
∙ pakage.json의 eslintConfig 코드 제거 후 .eslintrc.json 파일로 빼기
yarn install
.gitignore 파일에 다음을 추가해준다.
.yarn/*
!.yarn/cache
!.yarn/patches
!.yarn/plugins
!.yarn/releases
!.yarn/sdks
!.yarn/versions
여기까지 온 후로 다시 yarn start 해봤더니 다음 에러가 나왔다.
ESLint configuration in .eslintrc.json is invalid:
- Unexpected top-level property "eslintConfig".
앞 전에 만든 .eslintrc.json 파일의 코드를 모두 주석처리 했다.
문제가 해결됐다.
다만 내가 사용한 마이그레이션 방법을 이용하면 node_modules를 이용하지 않게 된다.
나는 코린이라 상관 없지만 혹시 원치 않는다면 고려해보자.
'Oops, All Code! > 🛠 Oops, My Co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깃허브 기본 브랜치 변경 방법 (feat. master와 main의 차이) (0) | 2024.05.23 |
---|---|
install npx 시도할 때 code EEXIST 에러 (0) | 2024.05.22 |
[React] Would you like to run the app on another port instead? 에러 (0) | 2023.03.19 |
[React] ERROR in Plugin 'react' was conflicted between 에러 (0) | 2023.03.19 |
[React] Usage Error: The nearest package directory 에러 (0) | 2023.03.19 |
- Total
- Today
- Yesterday
- 카페추천
- javascript
- 타입좁히기
- 어른의어휘공부
- 비즈플리마켓
- 카드뉴스
- 소사벌맛집
- typescript
- 경험플리마켓
- 일급객체
- 프론트엔드
- 서평
- 우아한테크코스
- 소사벌
- 플리마켓후기
- react
- 도서리뷰
- 어휘력
- 대학생팝업스토어
- 책추천
- 코딩테스트
- 프로토타입
- 도서추천
- 안성스타필드
- 프리코스
- 대학생플리마켓
- 트러블슈팅
- js
- 플리마켓운영
- 회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